올해 장마가 시작되었습니다. 장마철은 뭐니 뭐니 해도 제일 문제가 습기인 것 같습니다. 가만히 있어서 눅눅한 실내 환경 때문에 생활이 힘들 지경인데요 제습기와 에어컨을 틀면 좋지만 전기세 또한 만만치 않아 장마철을 그냥 버티는 분이 많은데 제습기나 에어컨 없이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여름철 장마철에는 실내 환기를 시켜줘야 하는데 환기를 하지 못하니 습기가 많아 실내가 끕끕하고 곰팡이가 피기 좋은 환경이 되어 빨래도 눅눅해지고 냄새가 많이 납니다. 에어컨이나 제습기로 습기 제거가 가능하나 오늘은 이 방법 말고 장마철 집 안 습기 쉽게 제거하는 다른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숯의 활용
첫 번째는 숯의 활용 입니다. 숯은 냄새는 물론이고 수분을 흡수하는 제습 효과가 뛰어납니다. 숯 자체에 미세한 구멍이 많아 수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숯의 표면에는 탄소가 노출되어 있어 다른 원소가 쉽게 달라붙게 되어 있고 건조한 환경에서는 수분을 내보내기도 하여 자연 습도 조절 기능과 냉장고에 넣어두면 냄새 또한 잡아주니 습도 조절과 냄새 제거에는 최고입니다. 잘 쓰지 않는 베란다나 주방 베란다 등에 놔두면 효과가 있습니다. 그래도 환기를 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2. 신문의 재활용
두 번째 신문 재활용 입니다. 신문 재활용도는 그릇을 포장할 때 등 신문지의 활용도가 다양합니다. 장마철 집 안 습기를 제거하는 방법 중 하나가 신문지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옷장이나 신발장에 깔아 두면 됩니다. 옷장이나 신발장 바닥에 신문지를 깔고 그 위에 옷이나 물건을 놔두면 되는데요 신문지가 습기를 빨아들여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발 속에 신문지를 넣으면 땀을 흡수해서 발 냄새를 줄일 수 있습니다.
3. 소금의 활용
세 번째 소금의 활용입니다. 소금은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싱크대나 방안 곳곳에 천으로 감싸 넣어두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햇볕에 잘 말린 상태에서 사용을 해야 해서 이 주에 한 번씩은 햇볕에 말려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재사용이 가능해 잘 말려서 사용하면 계속 사용할 수 있으며 굵은 소금이 아닌 일반 소금은 효과가 없습니다.
4. 커피 찌꺼기의 활용
네 번째 커피 찌거기의 활용입니다. 커피 찌꺼기 또한 습기 제거에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커피를 내리고 남은 커피 찌꺼기를 햇빛에 잘 말린 후 통에 담아 군데군데 놓으면 인테리어 효과도 있고 습기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은은하게 퍼지는 커피 향으로 인해 방향제 효과까지 덤으로 얻으실 수 있습니다.
5. 방부제의 실리카겔의 활용
다섯 번째 방부제 실리카겔 활용하기입니다. 보통 우리가 반찬으로 먹는 조미 김포 장에 들어 있는 방부제가 있습니다. 이 방부제를 버리지 말고 모아서 사용하면 되는데요 실리카겔은 습도 유지뿐 아니라 악취 제거 및 진득이 발생 억제 등의 효과도 있어 책장 사이사이 두거나 신발장 등에 두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재활용도 가능해 햇빛에 말리거나 포장을 벗겨 그릇에 넣어 전자레인지 30초 정도 돌려 말려주면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6. 보일러 가동 하기
여섯 번째 보일러 가동 하기. 이 방법이 제일 좋은 방법이기는 합니다. 집에 베란다 빼고는 보일러가 안 들어가는 곳이 없기 때문에 겨울에만 트는 것이 아닌 여름 장마철 습기가 많다고 느낄 때 1시간 정도만 틀어주면 끅끅한 습기를 제거해주기 때문에 좋습니다.
댓글